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연봉실제수령액 이라고 써있는 이미지

    1.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

     

    많은 사람들이 연봉을 기준으로 월급을 계산하지만,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은 연봉과 다릅니다.

    연봉이란 회사와 근로자가 계약한 총 급여액으로, 세금과 4대 보험료를 공제하기 전 금액을 의미한다.

    여기에는 기본급뿐만 아니라 상여금과 각종 수당도 포함된다. 반면, 실수령액은 연봉에서 각종 세금과 4대 보험료를 공제한 후 실제로 받는 금액을 뜻한다.

    2. 실수령액 계산 방법

     

    ① 연봉에서 공제되는 항목

    • 소득세 (누진세율 적용)
    • 지방소득세 (소득세의 10%)
    • 국민연금 (4.5%)
    • 건강보험 (3.545%)
    • 고용보험 (0.9%)

    ② 소득세 과세표준 및 세율

    과세표준 (연소득) 기본 세율 누진공제액
    1,400만 원 이하 6% -
    1,400만 원 ~ 5,000만 원 15% 126만 원
    5,000만 원 ~ 8,800만 원 24% 576만 원
    8,800만 원 ~ 1억 5,000만 원 35% 1,749만 원
    1억 5,000만 원 ~ 3억 원 38% 2,794만 원
    3억 원 ~ 5억 원 40% 3,794만 원
    5억 원 ~ 10억 원 42% 5,794만 원
    10억 원 초과 45% 9,794만 원

     

     

    ③ 연봉 - 소득세(+지방세) - 4대보험료 = 실수령액

    3. 연봉 5000만원 받을때 실제로 수령하는 금액 계산

     

     

    ① 과세표준 계산

     

    연봉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적용하여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.

    연봉 구간 공제율 공제액
    5,000만 원 이하 70% 3,500만 원

    과세표준 = 연봉 - 근로소득공제 = 1,500만 원

     

    ② 소득세 계산

    과세표준 구간 세율 계산 세금액
    1,400만 원 이하 6% 1,400만 원 × 6% 84만 원
    1,400만 원 초과 ~ 1,500만 원 15% (1,500만 원 - 1,400만 원) × 15% 15만 원

    총 소득세: 99만 원 - 누진공제(126만 원) = 0원

     

    ③ 지방소득세

    지방소득세 = 소득세의 10% = 0원

     

    ④ 4대 보험료 계산

    항목 계산식 금액
    국민연금 5,000만 원 × 4.5% 225만 원
    건강보험 5,000만 원 × 3.545% 177.25만 원
  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 × 12.81% 22.7만 원
    고용보험 5,000만 원 × 0.9% 45만 원

    총 4대 보험료: 469.95만 원

     

    ⑤ 최종 실수령액

    연봉 - (소득세 + 지방소득세 + 4대 보험료)

    5,000만 원 - (0원 + 0원 + 469.95만 원) = 4,530.05만 원

     

    월 실수령액: 4,530.05만 원 ÷ 12개월 = 377.5만 원

     

     

    4. 실수령액을 고려한 연봉 협상 팁

    연봉 협상은 단순한 숫자 게임이 아니라,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과정입니다. 시장 조사, 성과 정리, 협상 기술을 잘 활용하면 원하는 연봉에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. 연봉 협상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준비만 철저히 한다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.

    반응형